You cannot see this page without javascript.

Community

  1. Notice
  2. Free Board
  3. Technolog
  4. ProtoBook

002 - VM-Ware

조회 수 1332 추천 수 0 2014.12.02 18:55:10

 우리가 리눅스를 설치하고 운영하는것을 실습하기 위해서 CentOS7을 설치 해야 하는데, 컴퓨터를 포멧하고 설치 하는것이 가장 좋겠지만, 실제로 운영할 때에도 당연히 컴퓨터를 포멧하고 설치해야 하겠지만, 실습을 위해서 불가피 하게 VM-Ware를 이용하여 윈도우에 CentOS7을 설치 하려고 한다.

 

 VM-Ware를 이용하는 이유는

1. 리눅스서버가 정확히 동작하는지 테스트 할 수 있는 클라이언트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2. 운영중 필요한 정보를 아직까지는 보다 익숙한 윈도우를 통하여 수집하기 위함이다.

3. 실제로 운영함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로 접속하여 콘트롤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환경에 익숙해 지기 위해서 이다.

 

01 - VM-Ware란?

 그렇다면 VM-Ware란 무엇일까?

 이름에서도 알수 있듯이 가상머신소프트웨어이다.

 이 소프트웨어를 윈도우에 설치하면 윈도우상에 가상 머신을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가상머신에 또다른 윈도우나 리눅스등의 다른 OS를 설치 할수 있다.

 이렇게 설치된 가상 머신은 하드웨어의 자원은 로컬장치의 자원을 사용하지만 로컬OS인 윈도우와는 독립된 다른 OS가 된다.

 정리하자면 컴퓨터 속에 또 다른 컴퓨터를 만들어 놓고 마치 두대의 컴퓨터를 이용하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다.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것은 두대의 컴퓨터가 로컬 컴퓨터와 같은 성능으로 분리되지는 않는다는 것이다.

 자원은 로컬장비의 자원을 나누어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사실상 설치후 이용함에 있어서 성능은 로컬OS와 가상OS는 실제성능보다 떨어지는 것이 당연하다.

하지만 지금의 우리 실습환경은 성능보다 두대이상의 컴퓨터가 필요한 상황임으로 VM-Ware를 이용하기로 하자.

 

02 - 설치

 VM-Ware는 유료버전 WorkStation과 무료버전 Player가 있다.

 실습을 위하여 구성하기에는 Player만으로도 가능함으로 Player를 무료로 다운로드 받아 설치 하도록 하겠다.

 

 먼저 VM-Ware의 공식웹사이트는 http://www.vmware.com 이다.

 공식 웹사이트로 접속해 보자.

 다음과 같은 순서로 최신버전의 Player을 다운로드 받는다.

 

0001.jpg

 

 

0002.jpg

 

 

0003.jpg

 

 

0004.jpg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더블클릭하여 설치 한다.

별다른 설정은 없다.

Next 버튼을 클릭하여 설치를 완료하자.

 

0005.jpg

 

 

0006.jpg

 

 

0007.jpg

 

 

0008.jpg

 

 

0009.jpg

 

 

0010.jpg

 

 

0011.jpg

 

 

0012.jpg

 

 

0013.jpg

 

 

0014.jpg

 

 

설치가 완료되면 다음과 같이 바탕화면에 아이콘이 생긴다.

 

0015.jpg

 

 

 

이 아이콘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첫 페이지가 나온다.

 

0016.jpg

 

 

여기까지 되었으면 VM-Ware Player의 설치가 완료 되었다.

 

03 - 가상머신 만들기

 

이제 CentOS7을 설치하기 위해 가상머신을 만들어 보자.

 

메인 화면에서 다음과 같이 Create a New Virtual Machine 메뉴를 클릭한다.

 

0017.jpg

 

 

다음과 같이 서브페이지가 나타난다.

이페이지는 가상머신에 설치할 OS를 어떤 방식으로 로딩할것인지 결정하는 페이지이다.

Installer disk 항목은 로컬 머신의 실제 ODD장치로 CD 또는 DVD를 삽입하여 설치하는 항목이다.

Installer disk image file (iso) 항목은 OS의 ISO이미지를 가상ODD로 인식하여 설치하는 항목이다.

I will install the operating system later 항목은 설치 방식을 나중에 결정하겠다는 항목이다.

일단은 나중에 결정하기로 하고 아래의 Next버튼을 클릭하여 다음페이지로 넘어가자.

 

0018.jpg

 

 

다음페이지는 어떤 종류의 OS를 설치 할것인지 결정하는 페이지이다.

앞으로 우리는 CentOS7을 설치할 계획임으로 Guset operating system 은 Linux로 체크하고,

Version은 CentOS 64-bit로 선택한다.

OS종류의 선택이 끝났음으로 아래의 Next버튼을 클릭하여  다음페이지로 넘어가자.

 

0019.jpg

 

 

다음페이지는 가상머신의 내용들이 생성될 저장소 위치를 결정하는 페이지이다.

먼저 저장될 위치부터 결정하기 위해 Browse버튼을 클릭한다.

 

0020.jpg

 

 

다음과 같이 서프페이지로 로컬시스템의 디렉토리 구조가 나타나고,

적당한 위치에 하단의 새 폴더 만들기 버튼을 클릭하여

알맞은 이름으로 디렉토리를 생성하고 확인 버튼을 클릭한다.

 

0021.jpg

 

 

다음은 저장될 가상머신의 이름을 결정하여 입력하고, 하단의 Next버튼을 클릭하여  다음페이지로 넘어가자.

 

0022.jpg

 

 

다음페이지는 가상머신의 스토리지에 관한 설정이다.

먼저 가상머신의 스토리지의 용량을 Gb 단위로 정하여 Maximum disk size 항목에 기록한다.

아래의 Store virtual disk as a single file 항목은 결정한 용량의 단일파일 하나를 만들어 저장하는 방식이고,

Split virtual disk into multiple files 항목은 일정 크기로 쪼개어 저장하는 방식이다.

이 두 항목의 저장방식 차이로 인해서 전자는 시작부터 정해진 용량만큼 로컬시스템의 스토리지를 차지하는 반면,

Guest OS의 동작이 좀 더 민첩해 지고, 후자는 Guest OS의 내용이 분리되어 저장됨으로 동작이 민첩하지 못하지만,

사용하는 만큼 로컬시스템의 스토리지를 사용함으로 스토리지의 공간효율이 좋다.

현시점의 로컬시스템의 성능이 과거에 비하여 상당히 우수하기 때문에

동작 속도에 크게 불편함을 느끼지는 않을 것임으로 로컬시스템의 스토리지 관리를 위하여

후자를 선택하고 아래의 Next버튼을 클릭하여  다음페이지로 넘어가자.

 

0023.jpg

 

 

다음페이지는 결정한 가상머신의 하드웨어 설정을 보여주고 있다.

이대로 사용한다 해도 동작은 하겠지만 원할한 실습을 위하여 몇가지를 더 수정해야한다.

Customize Hardware버튼을 클릭하여 세부설정으로 이동하자.

 

0024.jpg

 

 

다음과 같이 세부설정 서브페이지가 열린다.

먼저 Memory항목이다.

기본으로 1Gb가 설정되어 있다.

필자는 지금 8Gb의 메모리가 로컬시스템에 설치되어 있음으로 그의 절반인 4Gb로 설정하였다.

방법은 오른쪽 스크롤바를 드레그 하거나, 메모리 용량을 직접 기록하면 된다.

 

0025.jpg

 

 

다음은 Processors 항목이다.

기본으로 1개의 프로세서가 설정되어 있다.

필자는 로컬시스템으로 쿼드코어를 사용중이다.

가상머신을 듀얼코어로 설정하려 한다.

방법은 오른쪽에 버튼을 클릭하여 선택한다.

 

0026.jpg

 

 

다음은 Network Adapter 항목이다.

기본으로 NAT 방식이 설정되어 있다.

필자는 Bridged 방식으로 설정하려 한다.

방법은 선택항목의 라디오 버튼을 클릭한다.

여기에서 NAT 방식과 Bridged 방식의 차이를 잘 모를 수도 있다고 생각하여 간단히 설명을 하려한다.

설명을 이해하기 위해 약간의 네트워크 지식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단말기가 네트워크에 소속되기 위해서는 IP와 넷마스크가 필요한데 수동으로 결정할수도 있지만,

주로 DHCP서버에 의하여 결정된다.

아마도 대부분 실습을 위한 환경이 DHCP서버가 가동되고 있을 것이고,

서버는 라우터 또는 공유기(정확히는 Nat Router)에 탑제되어 있을 것이다.

먼저 Bridged 방식은 로컬시스템의 Network Adapter를 통하여 로컬시스템의 DHCP서버를 같이 사용하는 것이고,

NAT 방식은 VM-Ware가 DHCP서버가 탑제된 가상의 라우터를 생성하여 새로운 네트워크를 만들어 로컬시스템과 가상머신을 묶어주는 방식이다.

전자나 후자나 설치 완료후 인터넷의 사용유무는 같지만,

전자의 경우는 로컬시스템이 이미 소속되어 있는 네트워크에 추가로 가상머신이 소속되는 경우이고,

후자의 경우는 새로운 네트워크에 가상머신이 소속되고 로컬 시스템은 원래의 네트워크와 새로운 네트워크에 모두 소속이 되는 경우가 되겠다.

로컬시스템과 가상머신만을 보자면 전자나 후자나 상관이 없겠지만, 로컬시스템이 이미 소속된 네트워크에 다른 단말기가 존재 한다면, 다른 단말기와 가상머신과의 네트워크 통합이냐 분리냐의 문제가 되겠다.

혹시 다른 단말기가 있다면 그 단말기를 이용하여 리눅스 서버의 실습을 테스트 할수도 있기 때문에

이번 실습에는 Network Adapter를 Bridged 방식으로 설정하고 아래의 Close 버튼을 클릭하여 세부설정을 마친다.

 

0027.jpg

 

 

다시 가상머신의 하드웨어 설정이 나오고 아래의 Finish 버튼을 클릭하여 가상머신의 생성을 완료한다.

 

0028.jpg

 

 

가상머신 생성의 완료후 아래와 같이 홈 아래에 생성한 가상머신이 추가된것이 확인된다.

이 가상머신은 하드웨어로서는 로컬시스템에 종속되어 있지만 소프트웨어로서는 완전히 분리된 하나의 시스템이다.

이 가상머신을 선택하고 아래의 Play virtual machine 버튼을 클릭하면 가상머신이 동작하게 된다.

 

0029.jpg

 

 

여기까지 완료되면 CentOS7을 설치할수 있는 기본환경이 완료된 것이다.

이제 CentOS7을 설치하기 위한 원본을 준비하여 가상머신에 설치하면 될 것이다.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CentOS 7 을 설치하고 APM서버를 구축는 과정을 게시하려고 한다. [10] LynX 2014-11-27 1418
4 004 - CentOS 7 설치 file [21] LynX 2014-12-04 3284
3 003 - CentOS7 배포판 file [12] LynX 2014-12-04 1044
» 002 - VM-Ware file [8] LynX 2014-12-02 1332
1 001 - 리눅스와 CentOS [10] LynX 2014-12-03 954
XE Login